"점보제트기를 낱낱이 분해해서 큰 통에 넣어라. 그 후 그 통을 힘껏 흔들어라. 거기서 점보제트기가 완성되어 나올 확률이 생명체가 나타날 확률이다"
창조론의 저런 주장은 직관적으로 볼때 맞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요?
1. 커다란 통에 백만개의 볼트와 백만개의 너트를 넣고 백만년동안 흔들어 봅시다. 그중에 과연 하나라도 볼트와 너트가 맞춰져 나오는 것이 있을까요?
첫번째에서는 100만년이 지나도 하나도 제대로 결합되어 나오지 못하던 것이 두번째는 순식간에 모두가 결합되어 버렸습니다. 볼트와 너트는 물리적 결합인 반면 산소와 수소는 화학적결합이기 때문입니다.(그림출처)
직관적으로는 볼트와 너트가 저절로 조여지고 전선이 저절로 납땜이 된다는 것이 불가능해 보이지만 화학결합으로 구성되는 생물체는 단순히 충돌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결합이 일어납니다.
2. 진화론에서 말하는 생명의 시작은 제트엔진으로 날고 레이더로 장애물을 찾는, 수백만개의 부품으로 만들어진 점보제트기가 아닙니다. 훨씬 간단한 종이글라이더부터 시작한 것입니다. 단순히 몸체와 날개, 즉 6,7개의 부품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죠. 이것만으로도 만들어질 확률은 엄청나게 늘어납니다.
혹시나 종이를 큰 통에 넣고 흔들어도 종이가 붙지 않는다는 분은 1번부터 다시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3. 생물체의 핵심 구성성분은 '자기복제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RNA는 주위에서 핵산분자를 끌어모아 자신의 복제를 만들 수 있죠. 마찬가지로 위의 종이비행기의 보기를 든다면 종이날개, 종이몸체 등은 RNA와 같이 주변에서 부품을 모아 자신의 복제를 만들어냅니다. 즉 일단 종이몸체와 종이날개가 만들어졌다면 바다 전체가 짧은 시간에 종이날개와 종이몸체로 가득 차게 됩니다. 그렇다면 몸체와 날개가 만날 가능성도 더욱 높아집니다.
이것이 생명체 전단계를 설명하는 화학진화입니다.(그림출처)
말하자면 생명체가 탄생할 확률은 점보제트기가 저절로 만들어질 확률보다 훨씬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