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 이야기 - 멸종해도 좋은 생물?

주라기공원에 나오는 인물들 중 하나인 수학자 말콤은 소설 속에서 이런 말을 합니다. 무분별한 인류 때문에 파괴되어가는 지구를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말합니다.

"인간이 지구를 파괴한다구요? 그것이야말로 과대망상입니다. 지구는 이미 몇번이나 인류 이상가는 충격을 받아왔습니다. 그리고도 항상 그 충격에서 회복되어 왔죠. 인류는 지구를 파괴할 수 없습니다."

흔히들 '환경에 적응 못하고 전멸하는 동식물들까지 돌봐줄 필요는 없다. 그것이 진화론이라는 자연법칙이다'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종종 있습니다.

지금은 인간이 환경을 바꾸고 있지만, 지구환경이 바뀌어 대량멸종이 일어난 일은 인간이 유일한 경우는 아닙니다. 가장 유명한 것이 중생대의 공룡시대를 종식시키고 포유류의 시대를 연 칙쇼루브 운석충돌이었죠#. 물론 이 칙쇼루브의 충돌은 지구에서의 문제가 아니라 외계에서 온 것이긴 합니다만.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에 의해 대멸종이 일어난 경우 역시 인간이 유일한 것도 아닙니다. 이를테면 남조류에 의한 대멸종이 있습니다.

초기 생명체가 탄생했을 때 대기는 산소가 거의 없는 환원성 대기였습니다. 자외선이 물을 분해해서 산소가 생기긴 했지만, 그 산소는 즉시로 주변에 있던 철이나 코발트 등 금속을 산화시키며 소모되었습니다. 당연히 당시의 생물들(박테리아)은 모두 혐기성 세균들이었습니다.

여기서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된 남조류들은 물과 이산화탄소로 탄수화물을 만들고 폐기물인 산소 - 생물의 세포막을 산화시켜 파괴하는 독가스를 뿜어내기 시작합니다. 마치 현대 공장이 스모그와 폐수를 함부로 쏟아내는 것처럼 말입니다.
게다가 스스로 유기물을 합성하는 방식이기에 다른 유기물을 찾아다녀야 하는 다른 박테리아들보다 훨씬 효율적으로 번식해 나가기 시작합니다. 결국 남조류의 수는 점점 많아지고 뿜어내는 산소도 점점 많아지고 산소농도는 점점 증가하게 되었죠.
결국 이 산소에 의해 대부분의 박테리아가 절멸하고 맙니다. 그리고 산소에 적응한 박테리아들만이 살아남고, 그들이 번식,진화해서 지금의 생태계가 만들어진 것이죠.

그보다 규모는 작지만 중생대에서도 그런 생태계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당시 식물계는 소철이나 은행나무 같은 겉씨식물이 대세였습니다.
그런데 이런 식물계에 위기가 닥쳐옵니다. 용각류라 불리는 거대한 공룡들이 식물을 닥치는대로 먹어치우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 속에서 주로 바람 등을 이용해서 수정하여 번식하는 겉씨식물들은 막다른 골목에 몰리게 됩니다.
하지만 그것은 곤충과의 공생을 시작한 속씨식물에게는 기회였죠. 곤충에 의해 쉽게 수정을 하고 쉽게 번식을 할 수 있는 속씨식물들이 급속하게 세력을 키우게 됩니다. 온통 녹색 천지였던 숲에 울긋불긋한 꽃이 보이게 된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볼때, 사실 인간에 의해 전멸하는 동식물을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 위 수학자 말콤의 말처럼 인간이 지구를 파괴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어차피 인간에게 적응한 동식물들이 다시 지구를 채우게 될 테니까 말입니다.

그런데 과연 그런 변화가 인간에겐 어떻게 작용할까요?

다시한번 옛날로 돌아가, 산소가 없던 시대의 지구 모습을 상상해 봅시다.
자외선을 막아줄 오존층이 없기에 지상에는 바위와 모래밖에 없었습니다. 생물체들이 올라오기 전이라 '흙'이라고 할만한 것도 없었죠. 생물이 육지로 올라와 죽고, 그 사체가 분해되어 유기물이 모래에 섞이면서 '흙'이란 것이 생기기 시작했으니까 말입니다.
대기중에는 메탄, 에탄 같은 유기기체가 뿌연 안개를 이루고 있었으며, 산소가 없으므로 하늘은 푸른색이 아닌 불그스름한 모습이었고, 바다는 그야말로 부패한 묽은 스프같은 유기물 용액이었을 것입니다. 이곳에서 태어난 생명체들에게는 이런 모습이 '정겹고 친숙한' 풍경이었을 겁니다. 유기물이 떠다니는 바다에서는 바로 옆에 먹거리가 풍족하게 있었으니까요.

그런데 산소를 발생시키며 지구 환경은 완전히 달라집니다. 과량의 산소가 바다와 육지의 유기물을 산화시켜 바다와 대기가 맑아지고, 대기중의 산소에 의해 하늘은 푸른색으로 물듧니다. 오존층이 생겨 육지로 생물들이 올라와 지금과 비슷한 모습의 지구가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런 모습이 예전에 살던 생명체에게는 어떻게 보일까요? 맑아진 바다에서는 먹거리가 사라졌습니다. 게다가 '산소'라 불리는 암살자들이 계속 자기 몸을 산화시켜 파괴하려 노리고 있습니다. 마치 지옥과 같은 모습일 겁니다.

우리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는 미래도 비슷할 것입니다. 지금처럼 공기와 물을 오염시켜 나간다면, 그 미래는 스모그 속에서 날아가는 새, 폐수 속에서 헤엄치는 물고기의 세상이 될 것입니다. 그런 환경이 그때의 생물들에게는 친숙한 환경이겠지만(마치 현재 환경이 인류에게 친숙하듯), 인류는 지옥과 같은 환경에서 살아야 할 것입니다. 마치 아직까지 살아남은 혐기성 세균들이 산소가 없는 곳만 찾아다니며 살아가는 것처럼 말입니다.

# 가장 유명한 것이 칙쇼루브의 충돌에 의한 중생대 대멸종이긴 합니다만, 이것이 가장 큰 대멸종은 아닙니다. 중생대의 대멸종은 생물종의 약 75%가 멸종했습니다.
가장 큰 대멸종은 페름기의 대멸종으로 이때는 95%의 생물종이 전멸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