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발자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발자국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진화론 이야기 - 진화는 선형이 아니다

많이 알려진 말의 진화도

창조론자들이 가장 좋아하는 말의 진화도입니다. 왜냐하면 씹을 것이 많기 때문이죠.


<전략>

셋째, 각 단계의 말들의 이빨은 씹는 이와 갈아 부수는 이로 명확히 구별되며, 전이형태가 없다.[John N. Moore, Haeold S. Slusher; Biology: A serch for order in complaxity, Zondervan Publishing Company, Grand Rapids, Michigan, p 403, 1970]

<중략>

일곱째, 이러한 발굽수를 진화의 근거로 든다면 갈비뼈의 수(18→16→18개)나 허리뼈의 수(6→7→8→6개)의 변화는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진화에 유리한 자료만 인위적으로 인용하는 것은 학문의 객관성을 상실하는 행위가 아닌가? 이러한 발굽수의 변화는 여분의 발굽수를 생성케 하는 유전정보를 가진 유전자의 스윗치설이, 이빨의 변화도 자연에 대한 적응결과라기 보다는 유전자의 소실에 의한 것이라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 [J. Salfati; The non evolution ofthe horse: special creation or evolved rock badger? Creation 21(3), pp 28-31, 1999]

<후략>
출처 : 창조과학회

실제로 현재까지 발견된 수십종의 말 화석들을 비교해 본다면 말의 진화계통도는 말이 안되는 듯이 보이기도 합니다. 저 근거자료라는 것이 1970년, 1999년의 논문이라고 해도 시간에 따른 갈비뼈의 수나 허리뼈의 수가 들쑥날쑥한 것이 사실이라면 진화론으로 설명이 힘듦니다.
그렇다면 창조과학회의 말처럼 말의 진화는 거짓일까요?

저 위의 진화도는 1882년도에 그려진 것입니다. 그때까지 발굴된 몇 안되는 말 화석을 그때까지 밝혀진 진화론에 맞추어 배열하다 보니 그림과 같은 에오히푸스(Eohippus)에서 에쿠우스(Equus)까지 하나의 흐름으로 맞추어놓은 것입니다. 그리고는 전혀 수정없이 현재 교과서에까지 실려 있습니다.
그러나 계속되는 발굴, 그리고 계속 발전되는 진화론에 의하여 말의 계통도는 이미 크게 수정되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말입니다.

새로운 말의 진화도

즉 말의 진화는 19세기 그림처럼 단일한 진화계통이 아니라 수없이 복잡하게 가지친 - 수없이 많은 종분화가 일어나고, 수없이 많은 종이 전멸한 - 그리고 마침내는 Equus란 종 하나만이 현재까지 살아남아 전 세계로 퍼져나간 모습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로써 창조론자들이 딴지를 걸던 이빨의 차이라든지(씹는 이빨과 부수는 이빨의 두 계통으로 분화) 갈비뼈, 척추뼈의 갯수(뼈의 갯수가 차이나는 여러 종의 분화)를 설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말의 진화에 있어서 한가지 문제라면, 19세기의 진화계통도가 아직까지 교과서에 실려있다는 정도입니다.





<전략>

물론 지느러미를 가진 동물이 걷게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진화론적 사고 때문이다. 진화론에서는 물고기 같은 동물이 최초의 육상동물이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그와 같은 이유로, 진화론자들은 물-육지 동물의 전이형태를 보여준다는, 그래서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로서 물고기 같은 생물체인 틱타알릭(Tiktaalik)과 같은 화석에 열광했던 것이다. (Read an example of the evolutionary enthusiasm in Meet Your Ancestor—the Fish that Crawled.)

그러나 이 발견은 틱타알릭이나 판데릭티스(Panderichthys), 그리고 다른 유사한 화석들의 진화론적 위치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었다. 틱타알릭은 3억7천만년 전의, 기껏해야 3억8천6백만년 전의 동물로 추정되고 있었다. 만약 틱타알릭이 육지를 걷는 데에 최초로 적응한 바다생물이었다면, 그렇다면 그레고르츠가 발견한 동물은 무엇인가? 그는 그 동물을 네 다리를 가진 독특한 진정한 사지동물(true tetrapods)이라고 말하고 있지 않은가? 이 동물은 틱타알릭보다 최소 9백만년 이전에 이미 폴란드를 걷고 있었다!  

그 발견으로 인해, 이제 다른 고생물학자들은 이전에 잃어버린 고리로서 그렇게도 요란하게 떠들어대던 틱타알릭을 폐기처분해야만 하는 입장이 되었다. 그리고 또 다시 진화론적 막다른 골목에 처하게 되었다. ”사지동물의 기원을 이해했다고 생각했었다. 그러나 이제 우리는 전체적인 것을 다시 생각해야만 한다.” 캠브리지 대학의 클락(Jennifer Clack)은 설명했다.


<후략>
출처 : 창조과학회


이것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수천만년에 걸쳐 (위의 말 진화계통과 유사하게)어류에서 수많은 틱타일릭 비슷한 종들이 분화되었고 수천만년동안 틱타알릭 비슷한 종들이 발자국을 만들었다는 것이 현대 진화론적인 생각이죠.  오로지 창조론자들만이 어류→틱타알릭→양서류의 (진화론에서는 이미 버려진)단일계통에 얽매어 있기에 이런 말도 안되는 딴지를 걸 뿐입니다.


말도 안되는 소리 말라구요? 단지 화석증거가 기존 말의 진화계통도에 맞지 않으니까 화석증거에 맞도록 새로운 진화계통도를 만들어 끼워맞춘 것 아니냐구요?

맞습니다. 발굴된 증거를 진화론에 끼워맞춘 것입니다. 그게 어때서요?
증거에 맞도록 이론을 수정하는 것은 진화론 뿐 아니라 과학의 특징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수정을 통해 지금까지 과학이 발전해 왔고 말입니다.
진화론에서는 '종의 분화'를 말하고 있고, 화석증거들을 '종의 분화'에 맞도록 배열할 수 있다는 것은 진화론을 지지하는 증거가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과학에서의 금기는 이론에 맞추어 증거를 수정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론에 맞추어 증거를 수정하는 것은 창조론자들의 특기죠. 창조론에 맞도록 증거를 바꿔버리니까요)

그렇다면 모든 증거들을 진화론에 끼워맞추면 되는 것 아니냐구요?
아니죠. '캄브리아기의 토끼 화석'은 절대로 진화론에 끼워맞출 수 없는 증거입니다. 캄브리아기의 토끼 화석은 종의 분화가 아니라 종의 창조를 말하게 되거든요. 그때문에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토끼화석이 발견된다면 진화론을 버리겠다'는 말을 하게 되는 것이구요.

그러니 창조론자들 여러분들은 진화론에 끼워맞출 수 없는 화석증거들을 찾아보세요.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진화론에 끼워맞출 수 없는 화석증거가 뭔지부터 알아야겠죠?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진화론이 뭔지부터 알아야겠죠?
그러니 진화론을 먼저 제대로 공부해야겠죠?

창조론 이야기 - 삼엽충을 밟은 발자국의 진실

선사시대의 삼엽충이 인간의 발에 밟힌 화석이 발견되었다면 어떻게 될까요? 삼엽충과 인간이 같이 살았다는 강력한 증거가 되겠죠? 지금도 창조론자들은 저런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 역시 국내가 아닌 외국 사이트를 찾아야 진실을 알 수 있습니다.

The "Meister Print"

대충 해석하면...

멜빈 쿡 박사(1970)의 기록에 의하면, 1986년 유타주 Antelope Springs 근처의 언덕에서 삼엽충을 찾고 있던 William J. Meister라는 지질학자가 지층에서 떼어낸 넓은 판에서 흥미로운 것 - 직사각형 모양의 긴 장방형, 그가 보기에 사람 샌들발자국 - 을 발견했다. 이것은 매우 놀라운 것으로 그 지역은 캄브리아 중기 Wheeler지층, 5억년전에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 샌들 발자국으로 추정된 것은 10.5인치(26.7cm), 3.5인치(8.9cm)로 측정되었으며 판의 양쪽면에 나타나 있었다(양각구조로). 그 시료는 마이스터가 뒷축이라고 간주한 것, 그리고 약간의 작은 삼엽충을 포함하고 있었다.
쿡의 보고 직후, 다른 창조론자들(Kofahl and Segraves, 1975; Baker, 1976; Wysong, 1976; Huse, 1983; Petersen, 1987)은 마이스터의 발견을 진화와 표준 지질학적 연대기를 부정하는 증거로서 인용하였다. 그러나 발자국으로 추정되는 것은 정밀한 조사를 받지 않았다.
그 시료는 실제로 삼엽충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러나 '발자국' 자체는 몇가지 이유에서 의심스러웠다. 자세한 조사에서 전체적인 모양은 응고된 듯한 판에서, 그 판의 다른 부분에서도 나타나는 깨진 패턴의 조합으로 보인다. 그것이 걸음걸이의 일부라는 증거도, 그 판이 노출되었었다는 증거도 어디에도 없다. 그 '발자국'은 매우 얕고 압력에 의한 변형도, 발의 움직임에 의한 가장자리의 변형도 보이지 않는다. '발꿈치'라고 알려진 경계는 실제적으로 그 판 전체를 가로지르는, 발자국이라고 알려진 영역 너머로 뻗어간 균열이었다. 이점에서 근소한 양각의 차이는 균열을 따라근소한 이동에 의한 것이었다(Conrad, 1981; Stokes, 1986).

비슷하게 깨진 패턴들은 여러가지 색깔의 달걀모양의 동심원을 보이는 판, 가끔은 부조와 같은 계단 형태로서 Wheeler 지층에 풍부하다. 여러개의 다른 장방형 모양들 또한 사람 발자국으로
해석되었지만(Cook, 1970), 마이스터의 시료보다도 덜 설득적이다(Conrad, 1981). 연결된 발자국 궤적도 없고, 인간의 발자국임을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인 기준을 만족시키지도 않는다.
깨지기 쉬운 Wheeler 지층에 위와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용해물의 관통, 깨짐, 풍화작용 등의 지질학적 과정에 대해 Stokes(1986)에 의해 자세히 논의되어 왔다.
(이후 생략)

여기까지만 해도 알 수 있겠지만 저것은 단순한 자연현상입니다. 그 자연현상이 '우연히' 발자국모양과 닮아있다는 것이죠.
혹시나 '우연'을 문제삼는 창조론자가 있을 수도 있겠는데 저런 지층에 생긴 균열은 수없이 많습니다. 그중에 발자국처럼 생긴 것이 하나둘쯤 생기는 것은 그다지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