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다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다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진화론 이야기 - 다윈과 멘델 2

'진화론 이야기 - 다윈과 멘델'에서도 한번 다루었지만 다윈의 진화론과 멘델의 유전법칙에 대해 오해하는 분들이 많더군요. 멘델의 유전법칙에 의하면 종이 변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다윈의 진화론이 부정된다고 말입니다.

http://www.kictnet.net/bbs/board.php?bo_table=sub5_1&wr_id=172&page=11

잠시 다른 이야기 좀 하죠.
중학교 과학에서 배우는 보일 샬의 법칙(Boyle-Charles' Law)이 있습니다. 기체의 온도와 압력, 부피에 관련된 식으로


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기체를 가지고 실험해 보면 저 식이 정확하게 맞을까요?
죄송합니다만 실제 기체로 실험을 해 본다면 정확하게 저 공식을 따르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저 보일 샬의 법칙은 이상기체(理想氣體 ideal gas), 즉 완전한 구형, 분자크기 0, 분자간 상호작용 0, 완전탄성충돌체가상적인 기체에서 정확하게 성립하는 법칙입니다. 그런데 실제 기체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분자간 인력도 발생하고 있죠.


마찬가지로 멘델의 유전법칙 역시 일반적인 유전자가 아닌 이상유전자(ideal gene)*, 말하자면
1. 모든 유전자는 뚜렷하게 구분되는 성질(노랑 또는 초록)이 있다.
2. 유전자의 변이는 절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3. 자연선택 또는 실험자의 선택에 의한 유전자의 도태는 일어나지 않는다.

라는 조건 하에서만 정확하게 성립되는 법칙입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 저런 유전자가 존재할까요? 2번, 유전자의 변이는 절대로 나타나지 않는다 하나만으로도 이상적인 유전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진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유전자의 변이자연선택에 의한 도태입니다. 멘델의 유전법칙에서는 이 두 가지를 제외합니다. 그런데 멘델의 유전법칙으로 진화를 부정하는 것이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요?

덧 :
위에서 이상기체(ideal gas)니 이상유전자(ideal gene)니 이야기하면서 법칙과 현실의 차이를 이야기했는데, 아마도 창조론자들 중에서 '실제와 차이가 나는 것이 무슨 법칙이냐'라고 할지도 모르겠군요(아니, 과학에 대한 창조론자들의 이해수준을 본다면 저런 말이 나올 가능성은 100%에 가까와 보입니다).
'이상기체에 적용되는 법칙'이란 말은 '최소한의 보정만으로 모든 기체'에 적용될 수 있는 법칙'이란 뜻입니다. 만약 산소기체라면 보일 샬의 법칙을 산소기체에 적용한 후 산소기체에 대한 보정을 하면 산소기체의 움직임을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죠.
마찬가지로 멘델의 법칙 또한 멘델의 법칙을 자연계의 유전자에 적용한 후 유전자에 대한 보정(돌연변이, 자연선택)을 하면 유전자의 움직임(진화)을 이해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 학술적으로 통용되는 언어가 아니라, 유전법칙을 설명하기 위해 제가 만든 말입니다. 이상(異常)한 유전자가 아니라 이상(理想)적인 유전자를 말합니다. 하긴 너무나 이상(理想)적이라는 것 자체가 이상(異常)한 것이긴 합니다만.

엮인글 : 진화론 이야기 - 다윈과 멘델

진화론 이야기 - 다윈과 멘델

다윈(Charles Robert Darwin)이 종의 기원을 쓰면서도 진화론에 대해 아직 해결 못한 여러가지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대부분은 후일의 생물학자들의 숙제로 남겨두었죠.

그가 인식했던 문제점들 중 하나가 '유전자의 혼합'이었습니다. 돌연변이에 의해 변이체가 나오는 것까진 알겠는데, 그 돌연변이가 어떻게 유지될까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테면 북극으로 이주한 한 무리의 갈색곰 사이에서 털을 흰색으로 만드는 돌연변이가 생겼습니다. 이 변이체는 환경에 적합하므로 자손을 많이 남길 수 있죠.
하지만 이 흰곰이 갈색곰과 짝짓기를 하면 그 자손은 흰색과 갈색의 중간인 '밝은 갈색'곰이 나올 것입니다. 이 밝은 갈색 곰 역시 주위에 더 많은 갈색곰과 짝짓기해서 '약간 밝은 갈색'곰이 태어날 테고, 결국 시간이 지남에 따라 흰색 유전자는 점점 희석되어 그 무리는 원래의 갈색곰으로 되돌아갈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었습니다.


다윈이 생각한 옅어지는 흰색 유전자


비슷한 시기 오스트리아의 수도사 멘델(Gregor Mendel)은 유명한 멘델의 유전법칙을 실험하고 있었습니다. 불행하게도 그의 실험은 오랜 시간 잊혀져 있었고, 20세기 초 다른 생물학자들에 의해 재발견되어 세상에 나올 수 있었습니다.

만약 다윈이 멘델의 실험을 알게 되었다면 어땠을까요?
노란색 콩과 녹색 콩을 교배시키면 노란색 콩만 나옵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녹색콩 유전자가 사라진 것은 아닙니다. 발현되지 않았을 뿐 노란색 콩 안에 녹색 유전자도 살아 있습니다. 이것은 그 다음 세대 콩에서 녹색콩이 나온다는 점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위의 경우 '흰곰 유전자'는 사라진 듯 보여도 몇 세대 후 다시 '흰곰'이 태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흰곰'은 보다 많은 유전자를 전달할 것이며, 결국 '흰곰 유전자'의 비율은 점점 늘어날 수 있는 것이죠.

후손에 다시 나타나는 흰색 유전자


그런데 창조론자들은 멘델의 유전법칙이 진화론을 부정한다고 주장하곤 합니다.

http://www.kictnet.net/bbs/board.php?bo_table=sub5_1&wr_id=172&page=11

그러면서 '만약 다윈이 멘델의 실험을 알았다면 절대로 '종의 기원'을 출간하지 않았을 것이다'라고도 하죠.
실상은 다릅니다. 만약 다윈이 멘델의 실험을 알았다면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종의 기원을 출간했을 것입니다.

엮인글 : 진화론 이야기 - 다윈과 멘델 2


창조론 이야기 - 다윈의 유언

창조론자들이 종종 하는 말이 있습니다. 다윈도 죽을때 '진화론을 만든 것'을 후회했다고 말이죠.
사실 진화론을 만든 것도 다윈이 아닙니다. 생물이 변할 수 있다는 보고는 이곳저곳에서 나오고 있었고, 다윈은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을 통해 진화론을 정립했을 뿐이죠.
또한 다윈이 진화론을 부정하든 말든 진화론은 상관하지 않습니다. 진화론은 이미 '다윈의 진화론'이 아니기 때문이죠(참고).

그런데 이러한 '다윈의 유언'은 창조과학회에서조차 부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윈은 자기의 주장을 철회하였는가?
(Did Darwin recant?)
Russell M. Grigg
   찰스 다윈(Charles Darwin)은 1882년 4월 19일에 73세의 나이로 죽었다. 그가 불신자로 죽었다는 것을 슬퍼했던 일부 사람들에 의해서, 다윈이 죽음 직전에 침상에서 기독교로 전향(death-bed conversion)했고 진화론을 포기하였다는 여러 뒷이야기들이 몇 년 동안 떠돌아 다녔다.

<중략>

그러므로 다윈은 자기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여진다. 오늘날 호프 부인의 이야기가 간혹 소책자에 출판되어 선의의 사람들에 의해서 배포되고 있는 것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출처 : 창조과학회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창조과학회를 뒤져보면 아주 아쉬운 듯이 다윈이 자신의 주장을 철회하지 않았다고 고백(?)하고 있습니다.


이상한 점은, 창조과학회의 글들을 열심히 퍼나르는 창조론자들도 창조과학회의 이 글은 못보는지 계속 '다윈의 유언' 어쩌고 하는 경우가 많더군요.
출처 : 그날의 양식
사실 창조과학회의 이 기사는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진화론의 허구' 같은 거짓말들은 홈페이지 전면에 위치한 반면 이 글은 한참 검색을 해야 나오기 때문이죠(이 글을 쓰게 된 계기도 이것 때문입니다. 그때마다 창조과학회 글을 찾아 보여주기 귀찮아서 말입니다.).

아마도 이 기사는 단지 창조과학회의 면피성 글이 아닐까 합니다. 우리는 분명히 다윈이 말년에 진화론을 철회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는 명목을 세워 놓고, 대신 다른 창조론자들이 다윈의 말년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주고받는 것은 방치하는 것 말입니다. 그러한 거짓으로라도 진화론을 훼손시켜 보려는 헛된 시도로 말이죠.
설사 실제로 다윈 자신이 진화론을 부정했다고 해도, 진화론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다윈은 진화론의 시작일 뿐, 진화론에는 다윈 뿐 아니라 수많은 생물학자들의 연구가 들어가 있습니다. 진화론 자체가 '다윈의 진화론'이 아닌 '수많은 생물학자들의 진화론'이기 때문입니다.

진화론 이야기 - '진화론'과 '다윈의 진화론'

진화론에 대해 창조론자들, 그리고 일부 일반인들이 쉽게 하는 착각이 있습니다. 바로 진화론은 다윈 것이라는 착각이죠.
그때문에 창조론계에서는 열심히 다윈다윈의 진화론을 깎아내리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다윈 대 하나님
150년 후에도 화석들은 여전히 다윈을 지지하지 않고 있다.

한때는 다윈이 죽기 전에 진화론을 부정했다는 주장까지 하더니(다행히 이 주장은 창조과학회에서 스스로 접었더군요.) 심지어는 다윈을 정신이상자로 모는 인신공격에 가까운 주장까지 하고 있습니다.

창조론은 증거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야훼의 권위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만약 야훼의 권위가 무너지면 창조론의 권위는 사라집니다.
마찬가지로 창조론자들은 진화론 역시 다윈의 권위에 의존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다윈의 권위를 훼손함으로써 진화론의 권위를 떨어뜨리겠다는 생각이죠.

*****************************************

찰스 다윈이라는 사람이 어느 곳에 조그만 오두막을 세웠습니다.
며칠후 누군가가 벽을 조금 확장했습니다.
또 며칠후 다른 사람이 굴뚝을 부수고 좀더 높은 굴뚝을 세웠습니다.
또 며칠후 또다른 사람이 문짝을 떼어내고 좀더 큰 문짝으로 바꾸어 달았습니다.
....
이런 일이 반복되어 지금은 찰스 다윈이 최초에 세웠던 오두막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그 자리에는 커다란 벽돌집이 서 있습니다. 그런데 이 벽돌집을 '다윈의 오두막'이라 부를 수 있을까요?

현대의 진화론이 이런 모습입니다. 수많은 생물학자들이 '다윈의 진화론'에서 틀린 부분을 고치고 모자란 부분을 채워넣어 계속 진화론을 보완한 것입니다. 그 결과 현재는 '다윈의 진화론'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다윈의 진화론'과는 비교도 안되게 튼튼한 '진화론'이 만들어진 것입니다.

'다윈의 진화론'은 이미 폐기되었고 새로운 진화론은 다윈의 손을 떠났습니다. 현재의 진화론은 '다윈의 진화론'이 아닌 수많은 생물학자들의 진화론입니다. 그러므로 만약 창조론계의 주장대로 다윈이 정신병자였고 죽기 전에 진화론을 부정한 것이 사실이라고 해도 진화론의 권위에는 전혀 손상이 없습니다.

창조론자들은 이점을 이해하지 못하고 지금까지도 계속 '다윈의 진화론'만을 공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