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현이란 재료공학박사의 생물학강의를 듣고 무척 감동받은 모양입니다. 게다가 제게도 자꾸 쪽지를 보내네요..
수능점수 30점이라... 이렇게 자기 이야기를 남일처럼 말하기도 쉽지 않은데 말입니다.
일단 아이를 낳기만 하면 풀뿌리를 뽑아먹어서라도 살아가기에 인구가 늘어난답니다....
일단 아이를 낳기만 하면 풀뿌리를 뽑아먹어서라도 살아가기에 인구가 늘어난답니다....
그 쪽지를 보자니 카이바브 고원의 노새사슴 이야기가 생각나는군요. 언젠가 올리고 싶은 글이었는데 이기회에 써야겠습니다.
미국 애리조나주 카이바브 고원(Kaibab Plateau)에는 각종 나무들과 노새사슴(mule deer) 같은 초식동물을 비롯해서 퓨마, 늑대 등의 포식자들이 균형을 이루며 살고 있었습니다.
![]() |
노새사슴(mule deer) |
1907년, 루즈벨트 대통령은 고원의 노새사슴을 보호하기 위해 사슴사냥을 금지하는 한편, 소나 양 같은 다른 초식동물들을 내쫓고 퓨마, 늑대 등에게는 포상금을 걸어 사냥을 장려하였습니다.
이 정책은 확실한 성공을 거두어, 1900년대 초에 4000마리에 불과했던 사슴은, 1922년에는 5만마리 이상으로, 불과 20년만에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많이 불어난 사슴을 수용할 만한 여력이 카이바브 고원에는 없었다는 것이었죠. 이 사슴들은 저 위의 창조론자가 말하듯 풀이라도 뽑아먹었지만, 결국에는 대다수가 굶어죽어 오히려 처음의 4000마리 이하로 줄어들어버렸습니다. 5만으로 불어난 사슴떼들이 풀을 모두 뜯어먹었기 때문에 4000마리의 사슴들이 먹을 수 있는 풀이 자라려면 시간이 걸려야 했기 때문이죠.
김명현이란 박사가 정말로 이 사실을 모르고 말했는지, 아니면 알면서도 창조론자들을 속이고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저런 강의를 '감명깊게' 본 창조론자들은 무식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김명현이란 박사가 정말로 이 사실을 모르고 말했는지, 아니면 알면서도 창조론자들을 속이고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저런 강의를 '감명깊게' 본 창조론자들은 무식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참고로 현재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19세기쯤에 개발된 비료에 의해 식량생산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