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론 이야기 - 인구증가


김명현이란 재료공학박사의 생물학강의를 듣고 무척 감동받은 모양입니다. 게다가 제게도 자꾸 쪽지를 보내네요..




수능점수 30점이라... 이렇게 자기 이야기를 남일처럼 말하기도 쉽지 않은데 말입니다.
일단 아이를 낳기만 하면 풀뿌리를 뽑아먹어서라도 살아가기에 인구가 늘어난답니다....
그 쪽지를 보자니 카이바브 고원의 노새사슴 이야기가 생각나는군요. 언젠가 올리고 싶은 글이었는데 이기회에 써야겠습니다.

노새사슴(mule deer)
미국 애리조나주 카이바브 고원(Kaibab Plateau)에는 각종 나무들과 노새사슴(mule deer) 같은 초식동물을 비롯해서 퓨마, 늑대 등의 포식자들이 균형을 이루며 살고 있었습니다.
1907년, 루즈벨트 대통령은 고원의 노새사슴을 보호하기 위해 사슴사냥을 금지하는 한편, 소나 양 같은 다른 초식동물들을 내쫓고 퓨마, 늑대 등에게는 포상금을 걸어 사냥을 장려하였습니다.
이 정책은 확실한 성공을 거두어, 1900년대 초에 4000마리에 불과했던 사슴은, 1922년에는 5만마리 이상으로, 불과 20년만에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많이 불어난 사슴을 수용할 만한 여력이 카이바브 고원에는 없었다는 것이었죠. 이 사슴들은 저 위의 창조론자가 말하듯 풀이라도 뽑아먹었지만, 결국에는 대다수가 굶어죽어 오히려 처음의 4000마리 이하로 줄어들어버렸습니다. 5만으로 불어난 사슴떼들이 풀을 모두 뜯어먹었기 때문에 4000마리의 사슴들이 먹을 수 있는 풀이 자라려면 시간이 걸려야 했기 때문이죠.


김명현이란 박사가 정말로 이 사실을 모르고 말했는지, 아니면 알면서도 창조론자들을 속이고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저런 강의를 '감명깊게' 본 창조론자들은 무식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혹시 위의 창조론자라면, '풀이 없으면 밥이라도 해먹지 않고 왜 굶어죽었지?'라고 할지도... 사슴은 원래 풀을 먹으니까... 아니면 '사슴이 인간이라니 멍청한 참솔 같으니'라고 할까요?ㅎㅎ

참고로 현재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19세기쯤에 개발된 비료에 의해 식량생산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댓글 6개:

  1. 힉스상병
    김명헌이라는 그 박사가 공룡이야기 한거보고 한숨지었습니다...차라리 도킨스에게 성경 가르쳐달라하는게 더 나아보이더군요

    답글삭제
    답글
    1. 그런데도 김명현의 강의를 진리인줄 아는 사람들이 있죠.

      삭제
    2. 저 비아냥 꼴보기 싫어 죽겠네,,

      삭제
    3. 비아냥거린다는건 힉스상병님께 한겁니다~~

      삭제
  2. 잘 모르는 사람 댓글가지고 열심이 쓰셨는데 기명현 박사님하고 논쟁을 해보는게 어떠실까요?

    답글삭제
    답글
    1. 한번 주선을 해 주시던가요...
      위에서도 말했지만 저 강의대로라면 [S자 번식곡선]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습니다. 최소한 저는 [S자 번식곡선]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거든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