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사건이 일어났습니다. ㉮와 ㉯ 두 사람의 용의자가 잡혔습니다.
사건을 맡은 판사는 중립을 지키며 증인들의 증언을 듣습니다.
- 증인 ㉠ : 사건 전날 ㉮에게 칼을 팔았습니다.
- 증인 ㉡ : 사건당일 부산에서 ㉯를 봤습니다.
- 증인 ㉢ : 사건 전전날 피살자와 ㉮가 엄청 심하게 싸우더라구요.
- 증인 ㉣ : ㉮에게 돈을 빌려주고 못받았는데 사건 다음날 다 받았어요.
이런 증언을 듣던 판사는 점점 ㉮ 쪽으로 의심이 늘어갑니다. 하지만 판사는 중립을 지켜야 합니다. 판사는 증인들을 심문합니다.
- 증인 ㉠, ㉮에게 팔았던 칼이 사건에 쓰인 칼인 것이 확실합니까? 일련번호라도 있어요?
- 증인 ㉡, 증인은 그날 왜 부산에 갔습니까? 부산에 갔다는 증거 있습니까?
- 증인 ㉢, 피살자와 ㉮가 왜 싸웠는지 아십니까? 모른다면 증인의 증언은 기각합니다.
- 증인 ㉣, 증인은 그 돈이 피해자의 돈이라고 확신하십니까? 일련번호 적어 놨습니까?
그리고 ㉮가 범인이라는 수많은 증거들이 있지만, 판사는 그 증거들에 대한 재검토를 명령합니다. 그리고 ㉯가 범인이라는 증거를 찾는데 힘을 쏟습니다. 그래야 ㉮와 ㉯ 사이에서 중립을 지킬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도 사건은 해결되지 않지만 판사는 중립을 지키고 있다는 것에 만족합니다.
진화론과 창조론의 논쟁을 보면 양시론 또는 양비론을 펼치며 끼어드는 사람이 꼭 있습니다. 그들 중 대다수는 소위 중 2병 증상(말싸움이나 하는 하찮은 인간들보단 내가 위대하다)을 자랑하려는 사람들입니다. 저 높은 데서 '하찮은 인간들'의 싸움을 내려다보는 신의 기분을 느끼고 싶어하는 사람들이죠.
그런데 가끔씩은 정말로 어느정도 지식도 있어보이고, 논리도 있어보이는데도 양시론/양비론을 말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자신은 중립을 지킬뿐 창조론자가 아니라고 강변을 하곤 합니다.
그런 사람들은 저 위의 판사처럼 오로지 '중립을 지키기 위해 중립을 지키려는' 사람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이를테면, 어떤 사람이 진화론/창조론 논쟁을 처음 접했습니다. 끼어들기 전에 먼저 진화론과 창조론에 대해 중립적인 위치에서 알아볼 생각을 합니다. 여기까지는 좋습니다.
그런데 진화론과 창조론에 대해 알아보면 알아볼수록 진화론의 증거들은 쏟아져나오는데 비해 창조론의 증거는 나오는 것이 없습니다.
여기서 위의 판사와 같은 실수를 하게 되는 것이죠. 진화론쪽으로 기우는 마음을 잡고 중립을 지키기 위해, 진화론에 대해 보다 엄격한 잣대를 들이댑니다. 진화론쪽 증거들을 축소해서 창조론의 증거와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말입니다. 사실 아무것도 없는 '창조론의 증거'와 균형을 맞추려면 모든 진화론의 증거들을 부정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양시론/양비론자들이 창조론자로 보이는 이유죠.
중립을 지킨다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그와 함께 중립을 지킨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그 때문에 단지 '양쪽에서 같은 거리를 유지하는' 기계적인 중립을 중립으로 착각하는 일이 생기곤 합니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옳은 것'과 '그른 것' 사이에서 같은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진짜 '중립'인지 아니면 '그른 것을 편들어주는것'인지 말입니다.
이상은 꿈이고, 자신감이고 우리를 앞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희망입니다.
회의는 깨어 있는 것이고 의심하는 것입니다. 과학을 하는 사람들은 절대 이 말을 잊으면 안됩니다.
from : SBS Drama Kaist(마지막 강의)
진화론 이야기 - 인구증가
김명현이란 재료공학박사의 생물학강의를 듣고 무척 감동받은 모양입니다. 게다가 제게도 자꾸 쪽지를 보내네요..
수능점수 30점이라... 이렇게 자기 이야기를 남일처럼 말하기도 쉽지 않은데 말입니다.
일단 아이를 낳기만 하면 풀뿌리를 뽑아먹어서라도 살아가기에 인구가 늘어난답니다....
일단 아이를 낳기만 하면 풀뿌리를 뽑아먹어서라도 살아가기에 인구가 늘어난답니다....
그 쪽지를 보자니 카이바브 고원의 노새사슴 이야기가 생각나는군요. 언젠가 올리고 싶은 글이었는데 이기회에 써야겠습니다.
미국 애리조나주 카이바브 고원(Kaibab Plateau)에는 각종 나무들과 노새사슴(mule deer) 같은 초식동물을 비롯해서 퓨마, 늑대 등의 포식자들이 균형을 이루며 살고 있었습니다.
노새사슴(mule deer) |
1907년, 루즈벨트 대통령은 고원의 노새사슴을 보호하기 위해 사슴사냥을 금지하는 한편, 소나 양 같은 다른 초식동물들을 내쫓고 퓨마, 늑대 등에게는 포상금을 걸어 사냥을 장려하였습니다.
이 정책은 확실한 성공을 거두어, 1900년대 초에 4000마리에 불과했던 사슴은, 1922년에는 5만마리 이상으로, 불과 20년만에 10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많이 불어난 사슴을 수용할 만한 여력이 카이바브 고원에는 없었다는 것이었죠. 이 사슴들은 저 위의 창조론자가 말하듯 풀이라도 뽑아먹었지만, 결국에는 대다수가 굶어죽어 오히려 처음의 4000마리 이하로 줄어들어버렸습니다. 5만으로 불어난 사슴떼들이 풀을 모두 뜯어먹었기 때문에 4000마리의 사슴들이 먹을 수 있는 풀이 자라려면 시간이 걸려야 했기 때문이죠.
김명현이란 박사가 정말로 이 사실을 모르고 말했는지, 아니면 알면서도 창조론자들을 속이고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저런 강의를 '감명깊게' 본 창조론자들은 무식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김명현이란 박사가 정말로 이 사실을 모르고 말했는지, 아니면 알면서도 창조론자들을 속이고 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저런 강의를 '감명깊게' 본 창조론자들은 무식하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참고로 현재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것은, 19세기쯤에 개발된 비료에 의해 식량생산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이 가장 큰 이유입니다.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