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설계론은 지적설계자를 모욕하는 행위 - 팬더와 대나무

식물들은 '셀룰로오스(Cellulose)'라는 유기물을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세포벽의 주성분이죠.

셀룰로오스 분자구조

이 고분자 유기물은 상당히 단단하면서도 안정된 물질입니다. 식물을 주식으로 하는 초식동물들조차 이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없습니다. 일부 미생물들만이 셀룰라아제(Cellulase)를 만들어 셀룰로오스를 분해하여 포도당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 때문에 대부분의 초식동물들은 장 속에 이와 같은 미생물들과의 공생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칼립투스 잎을 먹는 코알라는 유칼립투스의 독을 중화하고 그 섬유소를 분해하기 위한 장내세균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금방 태어난 코알라 새끼의 장은 거의 완전한 무균상태입니다. 그러므로 어미 코알라는 자신의 똥을 먹임으로써 장내세균을 옮겨주어 이후 먹이를 소화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 밖의 다른 초식동물들 역시 비슷합니다. 어린 시절 젖과 함께 자신의 똥을 먹임으로써 장내세균을 전달해 주어야 이후 먹이를 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죠.

대나무를 먹는 팬더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팬더의 장내세균이 없으면 단단한 대나무 섬유질을 분해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팬더를 연구한 결과, 먹은 대나무 셀룰로오스의 단지 8%만, 그리고 헤미셀룰로오스의 27%만 분해하여 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나머지는 똥으로 배설되어 버리는 것이었습니다.
팬더의 배설물에서 셀룰로오스와 헤미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세균이 발견되긴 했습니다만, 그 양은 생각보다 적었습니다. 오히려 잡식동물인 사람보다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이죠.
그뿐 아니라 다른 초식동물과는 달리 팬더의 소화관은 비교적 짧습니다. 흡수하기 어려운 식물성 먹이를 흡수할 시간도 짧다는 것이죠.

그 때문에 팬더는 하루 대부분의 시간, 즉 하루에 15시간 이상을 먹는데 보내야 합니다. 그리고 먹은 대나무의 80% 이상을 그대로 배설해 버립니다.
지적설계자는 모든 초식동물에게, 심지어는 흰개미에게까지 셀룰로오스를 잘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을 넣어주었으면서 왜 팬더에게는 그런 미생물을 넣어주지 않았을까요?

팬더의 식성이 바뀐 것은 약 700만년 전이라고 합니다. 그 이전에는 육식을 주로 하는 잡식이었죠. 지금도 팬더의 장내세균은 초식동물보다는 육식동물의 장내세균에 더 가깝습니다. 다만 잡식이므로 풀을 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700만년전 알 수 없는 어떤 이유로 인해 대나무를 주식으로 하게 된 이후에도 풀을 소화할 수 있는 미생물 덕에 효율은 낮지만 그럭저럭 영양분을 섭취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그곳에 다른 천적이 있었다면 이런 낮은 효율성으로 살 수 없었겠지만 말입니다.
어쨋든 팬더의 경우는 소화효율의 증가가 아니라 엄청난 대식가로서 진화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