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우 교수는 과학과 신학은 엄밀히 말해 별개의 영역이라고 설명했다. 우 교수는 "신학은 '왜'라는 질문에 답하는 학문이고 과학은 '어떻게'라는 질문에 답하는 학문"이라며 "서로 질문이 다르므로 과학과 신학은 독립적 학문"이라고 말했다. 신학의 관심사가 창조의 목적에 있다면 과학의 관심사는 창조의 과정을 밝히는 데 있다는 것이다. 우 교수는 그러면서 "두 학문의 독립성을 인정하지 않고 과학을 억지로 신학에 갖다 붙이려다 보니까 '창조과학' 같은 유사 과학이 생겨난다"고 비판했다. |
우종학 서울대 교수의 인터뷰입니다. 대표적인 기독교인 과학자이면서도 창조과학에 비판적인 교수죠.
그의 말대로 과학이 따지는 것은 어떻게how로서 인간이 어떻게how 태어났는가 같은 질문에 답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왜why 태어났는가 같은 질문은 과학이 답할 수 없는 질문이죠. 그것은 과학이 아니라 신학이 대답해야 할 질문입니다.
그런데도 창조론자들이 주로 하는 질문이 인간이 왜why 태어났는가 류의 질문들입니다. ㄹ이유야 여러가지가 있겠죠. 과학과 신학을 구분 못해서(신학에서는 이 질문에 답을 해주는데 과학에서는 뭐라고 할 거냐?)일 수도 있겠고 과학이 답할 수 없는 질문이라서(이런 질문에 답도 못하는 과학은 엉터리다)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사실을 모르고 질문하는 경우도 있더군요. 과학은 왜why의 질문에도 답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어린이들에게 인기있는 시리즈 때문이더군요.
그래서 과학도 왜why라는 질문을 하지 않느냐는 오해를 하곤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만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why와 how를 정확하게 구분하지는 않는것 같더군요.
식탁 위에 케잌이 있습니다.
㈎ 이 케잌은 왜 생겼어?
㈏ 밀가루반죽이 열을 받아 캐러멜화반응이 일어나서 케잌이 되었어
㈐ 오늘이 네 생일이라서 어머니가 만들었어
여기서 ㈐는 완벽하게 why에 대한 대답 - 종교적 대답이지만 ㈏는 why라기보다는 how에 대한 과학적 대답입니다.
이렇게 질문과 대답이 why인지 아니면 how인지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이 창조과학이라는 사기에 빠지지 않는 가장 좋은 방법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