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된 후 화학전 전처리로 오염 제거

방사선 탄소 연대 측정법

여기서 어느 분이 이렇게 야외에서 톱질하는 것이 연구에 아무 상관 없다는 언급을 하시네요.

아무래도 그림으로 설명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새로 글을 팝니다.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한마디...

아무래도 님은 이렇게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어떤 오염이 된다고 해도 화학적 전처리를 통해 오염 이전의 상태로 완벽하게 되돌아갈 수 있다]

그렇다면 다른 화학자며 고생물학자들은 왜 그리 힘들게 시료를 밀폐하고, 깨끗한 실험실에서 처리할까요? 다른 화학자들은 화학적 전처리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몰라서, 현장에서 저렇게 시료를 채취하는 간단한 일을 안하는 걸까요?

어떤 시료든 한번 오염되면 오염 전으로 완벽하게 되돌아갈 수 없습니다. 어떤 화학적 전처리를 해도 [오염 전에 최대한 가깝게] 되돌릴 수는 있어도 [오염 전으로 완벽하게] 되돌릴 수는 없어요.

그래서 수많은 과학자들이 [미리 오염 안되게] 조치(현장에서 밀폐, 깨끗한 실험실에서 외부 세척 후 내부시료 채취)하는 것이지, 저렇게 [오염된 후 화학적 전처리로 오염물질 제거]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님이 말하는 오염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적 전처리는 피치 못할 사정으로 시료를 채취하기 전에 이미 오염되어 있을 때 - 이를테면 이미 오염되어 있을 것이 확실한 표면에서 시료를 채취해야 할 경우 - 야 하는 것이죠. 물론 논문에는 [어떤 오염이 있었고 어떤 전처리를 했으니 감안하고 보라]는 식으로 명시해야 합니다.

본문제로 돌아와서

처음 발견된 화석은 이런 모습입니다. 회색의 화석 안에 극미량의 콜라겐(붉은색 점)이 존재합니다.

흙에 박혀 있는 이 화석 주위에는 온갖 유기물들로 가득차 있죠. 꽃가루, 박테리아, 동물들의 분변, 사람들이 흘린 땀 등....

이 상태로 톱질을 한다면 이런 상황이 됩니다.

편의상 크게 처리했지만 실제로 저것들은 매우 작은 크기입니다. 어쨋든 저렇게 톱질을 하면 주위 유기물들이 톱에 딸려들어가 잘려진 모든 표면이 오염됩니다.

여기서 화학적 전처리가 문제인데, 어떤 화학적 전처리를 해도 오염 이전으로 완벽하게 돌아갈 수는 없어요. 오로지 오염 이전으로 최대한 가깝게 돌아갈 수 있을 뿐입니다.

이렇게 이미 오염된 유기물을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유기물이 남아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A와 B는 남아있는 오염된 유기물의 탄소, C와 D는 오염된 유기물의 탄소 + 극미량의 콜라겐 탄소가 측정되는 셈입니다. 여기서 콜라겐은 극미량이기에 A, B, C, D 모든 시료에서 거의 비슷한 pMC값이 측정될 수 있습니다. 즉 모든 구획에서 동일한 pMC값이 측정되었다는 것이 실험이 정확했다는 증거가 될 수 없는 것입니다.

실제로 정확한 실험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현장에서 샘플을 채취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 밀폐 후 실험실로 옮깁니다.

그리고 실험실에서 외부의 유기물을 확실하게 제거합니다. 필요하다면 표면을 갈아서 제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이후에야 톱질을 하고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죠.

이렇게 되면 결과가 어떻게 나올까요? A, B와 같이 콜라겐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pMC값이 나오지 않습니다. 반면 콜라겐을 함유하고 있는 C, D부분에서는 pMC값이 나오겠죠.

제대로 실험했다면 모든 구획에서 동일한 pMC값이 나올 수 없다는 뜻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